안녕하세요^^
오늘은 자동차 및 운전에 대해서 평소에 생각을 해보지 않았지만, 알고 싶은 진실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동차 타이어는 왜 검은색일까?
우리가 이용하는 편리한 이동수단인 자동차의 색깔은 매우 다양합니다. 하지만 전 세계의 타이어는 검은색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그건 바로 타이어에 카본이라는 물질의 보강제를 타이어 고무의 1/2 분량만큼 넣기 때문입니다. 카본은 무게가 매우 가볍고, 탄성과 부식에 강해서 특히 자동차 타이어에 많이 사용되는데 새까만 탄소 가루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자동차의 타이어가 검은색입니다. 실제로 타이어에는 인조, 천연고무를 가공해서 만드는데, 실제로는 검은색이 아니지만(하얀 타이어 제조 가능) 빠른 속도, 도로의 표면, 험난한 주행 등을 고려하여 타이어의 강도와 내구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검은색의 카본을 넣는다고 합니다.
2. 보통 도로 제한속도는 시속 110km가 최대인데, 자동차 미터기가 시속 200km 이상 표시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의 제한속도는 시속 110km로 알고 있는 게 보편적입니다. 그런데 자동차 미터기를 보면 시속 200km 이상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과속을 조장하는 것도 아니고 많은 궁금증이 생기는데, 이유는 다른 나라로 자동차를 수출하기 때문입니다. 유럽에서 불가리아와 폴란드는 제한속도 140km이고, 프랑스 외 17개국 130km, 스위스, 벨기에 외 7개국 120km 등 속도 제한이 나라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런 곳에 수출을 하려면 시속 110km에 맞추면 곤란할 것입니다.
다른 이유로는 속도를 내어야 할 위급한 상황이나 장애물을 피해야 할 때 필요하거나 자동차 제조사들이 자동차의 성능을 소비자들에게 과시하고 싶어서 200km 이상 계기판에 보이게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제한속도를 높여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실제로 1979년 이후 제한속도는 100~110km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도로정책연구센터에서는 "주행 속도가 높으면 사고 발생과 심각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며 제한속도를 상향시킬 계획은 없다고 합니다.
3. 자동차 판매점의 전시용 차량은 어떻게 매장 안으로 넣을까?
길을 가다 보면 커다란 투명색 유리창으로 둘러싸인 자동차 판매점에는 여러 대의 자동차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심지어는 1층이 아닌 2층, 3층에 전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어떠한 방법으로 크고 무거운 자동차를 가져다 놓을 수 있을까요? 작은 규모의 판매점의 경우 눈에 띄는 자리에 있는 커다란 문을 이용하거나 쇼윈도의 유리를 떼어내고 전시차량을 집어넣고, 큰 규모의 판매점은 전용 카 리프트를 이용하여 각 층에 있는 출입구를 통해서 자동차를 이동시킵니다. 그 이후 기어를 중립에 놓고 매장의 직원들이 차량을 밀어서 옮긴다고 합니다. 보통 고객이 많이 없는 휴일이나 매장 휴무 일 때 작업을 한다고 합니다.
4. 검은색 차가 사고를 당하기 쉬운 이유는?
상대적으로 검은색 차가 다른 차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로 검은색은 실제로 작게 보이게 하기 때문입니다. 바둑알을 예로 들면 검은 돌을 흰 돌보다 약간 더 크게 만드는 이유도 같은 크기로 만들게 되면 흰 돌이 조금 더 크고 우세해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없애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그리고 생각해보면 승용차는 검은색이 많지만 버스랑 택시는 검은색이 드물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작심남의 끄적끄적 뇌피셜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만남에서 가장 중요한 첫인상과 이미지메이킹 준비법(남,여 정장 입는 TIP) (0) | 2020.03.08 |
---|---|
[트렌드 코리아 2020] 대한민국의 트렌드를 한눈에 읽어보자 (0) | 2020.03.07 |
책을 빨리 읽기 위하여 안구운동은 많은 도움이 될까요?(포커스 리딩) (0) | 2020.03.04 |
체코 프라하 역사 여행 후기- RuExp팀 팁(TIP)투어 (0) | 2020.03.03 |
동해바다(East Sea)는 세계지도에 얼마나 표시되어 있을까? (0) | 2020.03.02 |